세종시 폭우 실종 사고…뒤늦은 대응에 재난 체계 ‘구멍’ 지적
최근 세종시에서 발생한 폭우 실종 사고가 안타까운 결과로 마무리되면서, 지자체의 재난 대응 체계에 대한 비판이 거세지고 있습니다. 실종된 40대 남성은 사고 발생 5일 만에 금강에서 시신으로 발견됐고, 초기 대응이 늦어졌던 점이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폭우 속 급류에 휩쓸린 실종자…5일 후 발견
해당 사건은 세종시에 쏟아진 집중호우로 인해 발생했습니다. 40대 남성 A씨는 폭우가 내리던 날 급류에 휩쓸려 실종됐으며, 수색 작업 끝에 5일 후 금강 하류에서 숨진 채 발견되었습니다. 이 비극적인 결과에 시민들의 슬픔과 함께 분노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습니다.
초기 판단 미흡…‘회식 후 실종’으로 분류
더 큰 문제는 세종시의 초기 대응의 판단 오류였습니다. 세종시는 해당 사건을 당초 ‘회식 후 실종’으로 분류하면서 재난 피해로 인식하지 않고 보고하지 않았습니다. 그 결과, 재난안전대책본부(재대본)의 가동이 지연되었고, 필요한 인력과 자원이 초기부터 투입되지 못했습니다.
대통령실, 공직 기강 해이 지적
이번 사태에 대해 대통령실도 직접 나서 "재난 상황에서 공직자들의 판단력 부족과 대응 미흡은 명백한 기강 해이"라며 강한 유감을 표명했습니다. 또한 책임 있는 후속 조치와 함께, 공무원 사회의 재난 대응 매뉴얼 점검을 주문했습니다.
세종시, 뒤늦은 재대본 개선 약속
비판이 커지자 세종시는 재난 대응 체계 전면 재정비 방침을 밝혔습니다. 앞으로는 재대본 구성 시 소방본부와 자치경찰까지 포함하고, 보고 체계도 명확하게 개선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또한 재난 발생 시 즉각 상황 판단회의를 소집하고, 초기 단계부터 인명 피해를 전제로 신속 대응하겠다는 입장입니다.
결론
이번 사건은 단순한 자연 재해를 넘어, 행정 시스템의 사각지대가 어떤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준 사례입니다. 재난은 예측할 수 없지만, 대응은 준비된 체계로만 가능하다는 사실을 다시금 상기시켰습니다.
세종시뿐 아니라 전국 지자체 모두가 이번 사건을 교훈 삼아 초동 대응 능력 강화와 책임 행정의 필요성을 다시 점검해야 할 시점입니다.